[RE] 비올라 교본


2001-02-17 12:38
7,555
0
본문
비올라를 위한 교본도 요즘엔 다른 악기처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제 주관에 의한 소개드릴만한 교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급~
Langey "Tutor"
가장 기초적인 사항부터 시작되는 걸음마 교본으로 한글판도 있습니다.
스트링 소개/보우 잡는법/악기 부분별 명칭/악보 보는법등 Basic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중급~
Mogil "Advance Scale and Double Stops" "Scale Studies for Viola"
본격적인 스케일 공부 교본
Wohlfahrt "30 Selected Studies in the Position"/"60 Studies,Op.45"/
"Foundation Studies"
포지션 공부를 위한 3권으로 구성된 교본으로 각 30개/60개/Foundation Studies로
나뉘어져 있는데 보통 앞의 두권을 많이 공부 합니다.
Schradieck "Volume 1/2/3"
왼손가락의 훈련을 위한 매우 훌륭한 교본.
3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특히 제1권의 제1번은 왼손 훈련법중 가장 뛰어난 걸작.
Sevcik "School for Technics,Op.1"/"School of Bowing Technique,Op.2"/
"Selected Studies in the First Position"/"Preparatory Trill Studies,Op.7"/
"Shiffting the Position,Op.8"
크게 5가지 종류로 나뉘어져 있는 오리지널이 바이얼린을 위한 명교재.
테크닉 훈련에 매우 유용하다.
Kayser "36 Studies,Op.43"/"24 Studies.Op.55"
유명한 바이얼린 교재의 비올라판.
각 36개 Op.43과 24개 Op.55의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36개의 스터디가 많이
이용되고 있음.
테크닉과 음정 공부에 유용함.
Mazas "Melodious and Progressive Studies,Op.36 #1 & #2"
Kayser와 흡사한 커리큘럼의 교본.
~고급~
Carl Flesch "Scale System"
가장 유명한 스케일 교본의 대명사.
일부는 오리지널이 바이얼린용인 만큼 포지션 이동에 있어서 비올라용으로
부적합한 부분도 있으나 최고의 스케일 교본이다.
Kreutzer "42 Studies"
현존 가장 유명한 바이얼린 교재중 하나로 비올라의 교재로서 나무랄때 없는
뛰어난 교본.
음정/보윙/테크닉등 전반적인 고급 훈련용 교재.
Hoffmeister "12 Studies"
Kreutzer와 비슷한 타입의 교본으로 상당히 과학적이다.
Tartini "The Art of Bowing"
제목 그대로 보윙 테크닉 교제로는 최고의 걸작으로 보윙외에 리듬 훈련에도
매우 적합하다.
~최고급(?)~
Campagnoli "41 Caprice"
비올라를 위한 오리지널 교본으로 상당 수준의 기본적 테크닉이 요구된다.
3가지 종류의 버젼이 있는데 프림로즈판이 가장 우수하다.
Paganini "24 Caprice"
너무나 유명한 최고의 기교를 요구하는 바이얼린의 성서로 최근 비올라를 위한
교재로도 이용되기 시작했다.
J.S.Bach "Unaccompanied Six Suites"
역시 설명이 필요없는 너무나도 유명한 작품으로 오늘날 아주 중요한 비올라
레파토리가 되었다.
미국의 경우 거의 모든 음대입시에 기본적으로 두개의 악장(느리고 빠른)이
기본 입시곡으로 요구된다.
>비올라를 대학때 만저보고 한동안 쉬었다가 한번 다시 시작해 볼려고 합니다.
>초급부터 고급까지 교칙본과 각수준에 알맞는 연습곡을 자세히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올라 비올라를 사랑하는 울트라 비올라 메니아 를 꿈구며....
>그럼수고 하세요
제 주관에 의한 소개드릴만한 교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급~
Langey "Tutor"
가장 기초적인 사항부터 시작되는 걸음마 교본으로 한글판도 있습니다.
스트링 소개/보우 잡는법/악기 부분별 명칭/악보 보는법등 Basic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중급~
Mogil "Advance Scale and Double Stops" "Scale Studies for Viola"
본격적인 스케일 공부 교본
Wohlfahrt "30 Selected Studies in the Position"/"60 Studies,Op.45"/
"Foundation Studies"
포지션 공부를 위한 3권으로 구성된 교본으로 각 30개/60개/Foundation Studies로
나뉘어져 있는데 보통 앞의 두권을 많이 공부 합니다.
Schradieck "Volume 1/2/3"
왼손가락의 훈련을 위한 매우 훌륭한 교본.
3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특히 제1권의 제1번은 왼손 훈련법중 가장 뛰어난 걸작.
Sevcik "School for Technics,Op.1"/"School of Bowing Technique,Op.2"/
"Selected Studies in the First Position"/"Preparatory Trill Studies,Op.7"/
"Shiffting the Position,Op.8"
크게 5가지 종류로 나뉘어져 있는 오리지널이 바이얼린을 위한 명교재.
테크닉 훈련에 매우 유용하다.
Kayser "36 Studies,Op.43"/"24 Studies.Op.55"
유명한 바이얼린 교재의 비올라판.
각 36개 Op.43과 24개 Op.55의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36개의 스터디가 많이
이용되고 있음.
테크닉과 음정 공부에 유용함.
Mazas "Melodious and Progressive Studies,Op.36 #1 & #2"
Kayser와 흡사한 커리큘럼의 교본.
~고급~
Carl Flesch "Scale System"
가장 유명한 스케일 교본의 대명사.
일부는 오리지널이 바이얼린용인 만큼 포지션 이동에 있어서 비올라용으로
부적합한 부분도 있으나 최고의 스케일 교본이다.
Kreutzer "42 Studies"
현존 가장 유명한 바이얼린 교재중 하나로 비올라의 교재로서 나무랄때 없는
뛰어난 교본.
음정/보윙/테크닉등 전반적인 고급 훈련용 교재.
Hoffmeister "12 Studies"
Kreutzer와 비슷한 타입의 교본으로 상당히 과학적이다.
Tartini "The Art of Bowing"
제목 그대로 보윙 테크닉 교제로는 최고의 걸작으로 보윙외에 리듬 훈련에도
매우 적합하다.
~최고급(?)~
Campagnoli "41 Caprice"
비올라를 위한 오리지널 교본으로 상당 수준의 기본적 테크닉이 요구된다.
3가지 종류의 버젼이 있는데 프림로즈판이 가장 우수하다.
Paganini "24 Caprice"
너무나 유명한 최고의 기교를 요구하는 바이얼린의 성서로 최근 비올라를 위한
교재로도 이용되기 시작했다.
J.S.Bach "Unaccompanied Six Suites"
역시 설명이 필요없는 너무나도 유명한 작품으로 오늘날 아주 중요한 비올라
레파토리가 되었다.
미국의 경우 거의 모든 음대입시에 기본적으로 두개의 악장(느리고 빠른)이
기본 입시곡으로 요구된다.
>비올라를 대학때 만저보고 한동안 쉬었다가 한번 다시 시작해 볼려고 합니다.
>초급부터 고급까지 교칙본과 각수준에 알맞는 연습곡을 자세히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올라 비올라를 사랑하는 울트라 비올라 메니아 를 꿈구며....
>그럼수고 하세요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