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iam Primrose


2002-11-02 23:19
4,562
1
본문
프림로즈는가 비올라의 Legend로써 추앙 받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볼수 있습니다.
우선 그의 전성기시절 앙상블 악기로만 인식되던 비올라를 독주 악기로의 위치를
확고히 하는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그예의 하나로 기교적인 면에서 비올라보다 난해함이 더한 악기인 바이얼린을
위한 작품중 최고의 난곡중의 난곡으로 불리우는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중 일부를
비올라용으로 프림로즈 자신이 편곡/연주/녹음, 비올라 테크닉의 가능성과 발전에
이바지한것은 대표적 예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둘째 이러한 영향을 받아 프림로즈에게 많은 현대 비올라를 위한 작품들이 위촉 또는
헌정 되었습니다.
직.간접적으로 이와 관련된 작품들로 바르톡과 월튼의 "비올라 협주곡"들을 비롯
약220여곡 이상의 작품들이 프림로즈에게 헌정 또는 초연 되었습니다.
또 프림로즈는 다른 악기들을 위한 작품들 및 옛 비올라 교본들의 편곡/수정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방대한 분량의 레파토리를 자신의 에디션으로 남겼는데 그중 상당수가
오늘날 비올라 레파토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활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셋째, 교사로써 뛰어난 제자들을 많이 배출 했습니다.
미국 비올라계의 경우 현재 최고 명성의 비올라 교사의 절대다수가 프림로즈의 제자들로
최고의 학파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결실로 인해 최근 미국 유타주 브링험영대학에서 프림로즈 박물관이 문을 열어
프림로즈의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비올라의 문외한인 제가 글을 읽다보니 프림로즈에 대한
>평이 있는데 그 분을 전설적인 비올리스트라고 부르는
>이유가 무언가요?
>물론 너무 비올라를 잘 켜서 뭐 이런 당연한 얘기 말고요.
>궁금하거든요.
우선 그의 전성기시절 앙상블 악기로만 인식되던 비올라를 독주 악기로의 위치를
확고히 하는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그예의 하나로 기교적인 면에서 비올라보다 난해함이 더한 악기인 바이얼린을
위한 작품중 최고의 난곡중의 난곡으로 불리우는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중 일부를
비올라용으로 프림로즈 자신이 편곡/연주/녹음, 비올라 테크닉의 가능성과 발전에
이바지한것은 대표적 예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둘째 이러한 영향을 받아 프림로즈에게 많은 현대 비올라를 위한 작품들이 위촉 또는
헌정 되었습니다.
직.간접적으로 이와 관련된 작품들로 바르톡과 월튼의 "비올라 협주곡"들을 비롯
약220여곡 이상의 작품들이 프림로즈에게 헌정 또는 초연 되었습니다.
또 프림로즈는 다른 악기들을 위한 작품들 및 옛 비올라 교본들의 편곡/수정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방대한 분량의 레파토리를 자신의 에디션으로 남겼는데 그중 상당수가
오늘날 비올라 레파토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활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셋째, 교사로써 뛰어난 제자들을 많이 배출 했습니다.
미국 비올라계의 경우 현재 최고 명성의 비올라 교사의 절대다수가 프림로즈의 제자들로
최고의 학파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결실로 인해 최근 미국 유타주 브링험영대학에서 프림로즈 박물관이 문을 열어
프림로즈의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비올라의 문외한인 제가 글을 읽다보니 프림로즈에 대한
>평이 있는데 그 분을 전설적인 비올리스트라고 부르는
>이유가 무언가요?
>물론 너무 비올라를 잘 켜서 뭐 이런 당연한 얘기 말고요.
>궁금하거든요.
댓글목록1
홍숙희님의 댓글
모든 질문에 막힘없이 궁금증을 단번에 풀어주시는군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훌륭한 비올리스트께서 계시니 그저 기쁘기 그지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