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아르페지오네에 대해서...


2000-12-20 01:38
5,567
0
본문
아르페지오네는 1823년 악기 제작자인 Johann Geor Staufer에 의해 제작된 6현
악기 입니다.
디자인이 기타와 흡사한 이 악기는 E-A-d-g-b-e 스트링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장
높은 음이 첼로의 A스트링 보다도 완전5도가 높습니다.
아르페지오네는 Guitar Violoncello/Guitar d'more/Bowed Guitar등의 이름으로도
불리우기도 합니다.
크기는 기타와 첼로의 중간 정도이며 거트 스트링에 보우를 사용하여 연주 합니다.
풍부하고 감미로운 아르페지오네의 높은 음역은 오보에를 낮은 음역은
바세트 호른을 연상 시키며 특히 반음계과 더블스톱의 연주가 수월 했다고 합니다.
슈베르트의 A단조 소나타 "일명 아르페지오네"는 오리지널을 일명처럼 사라진 악기
아르페지오를 위해 1824년 11월에 작곡(오리지널 악보가 현재 프랑스 파리 국립
보관되어 있음)되었으나 오늘날 비올라와 첼로를 비롯 바이얼린/더블베이스/플루트
/클라리넷(전조를 했음)은 물론 심지어 재즈용 섹서폰으로까지 연주 되고 있습니다.
작곡 당시 약어로 표시된 부분이 많고 교정을 하거나 지운 파트가 많아서
오리지널 악보의 경우 분석하기가 무척 어렵다고 합니다.
초판(J.P.Gottard)은 1871년 비인에서 춮판 되었으며 슈베르트 자신에 의한 또다른
필사본은(Gesellschaft der Musikfreunde)은 Spaun Collection이 소장하고
있습니다.
초판은 슈베르트 자신에 의해 당시 저명한 비인의 피아니스트 Julius Epstein에게
헌정 되었으며 작곡가 자신에 의한 바이얼린과 첼로를 위한 편곡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오늘날 아르페지오네는 비올라를 비롯 첼로/바이얼린/더블베이스/클라리넷/
플루트등으로 연주되고 있으며 스페인의 첼리스트인 Gaspar Cassado에 의해
오케스트레이션이 감미된 협주곡으로 편곡 되기도 했습니다.
비올라 버젼의 경우 현재 약5가지의 악보가 출판되었는데 악보마다 차이가
많더군요.
일부 악보의 경우는 음역을 변환 시킨것을 물론에 심지어 음표와 몇마디를
삭제까지 한 경우도 있습니다.
녹음의 경우 약12가지 녹음이 발매 되었는데 비올라 악기의 특성상 연주하기
어려운 이곡에서 두각을 나타낸 비올리스트를 발견할수 없었습니다.
전 실연으로 지난 96년 카네기홀에서 유리 바쉬메트와 97년 타비아 짐머만의
연주를 접해 봤는데 전자는 아주 실망스러운 연주를 했고 후자가 매우 뛰어난
연주를 들려 주었는데 짐머만의 경우는 아직 녹음을 하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악기 입니다.
디자인이 기타와 흡사한 이 악기는 E-A-d-g-b-e 스트링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장
높은 음이 첼로의 A스트링 보다도 완전5도가 높습니다.
아르페지오네는 Guitar Violoncello/Guitar d'more/Bowed Guitar등의 이름으로도
불리우기도 합니다.
크기는 기타와 첼로의 중간 정도이며 거트 스트링에 보우를 사용하여 연주 합니다.
풍부하고 감미로운 아르페지오네의 높은 음역은 오보에를 낮은 음역은
바세트 호른을 연상 시키며 특히 반음계과 더블스톱의 연주가 수월 했다고 합니다.
슈베르트의 A단조 소나타 "일명 아르페지오네"는 오리지널을 일명처럼 사라진 악기
아르페지오를 위해 1824년 11월에 작곡(오리지널 악보가 현재 프랑스 파리 국립
보관되어 있음)되었으나 오늘날 비올라와 첼로를 비롯 바이얼린/더블베이스/플루트
/클라리넷(전조를 했음)은 물론 심지어 재즈용 섹서폰으로까지 연주 되고 있습니다.
작곡 당시 약어로 표시된 부분이 많고 교정을 하거나 지운 파트가 많아서
오리지널 악보의 경우 분석하기가 무척 어렵다고 합니다.
초판(J.P.Gottard)은 1871년 비인에서 춮판 되었으며 슈베르트 자신에 의한 또다른
필사본은(Gesellschaft der Musikfreunde)은 Spaun Collection이 소장하고
있습니다.
초판은 슈베르트 자신에 의해 당시 저명한 비인의 피아니스트 Julius Epstein에게
헌정 되었으며 작곡가 자신에 의한 바이얼린과 첼로를 위한 편곡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오늘날 아르페지오네는 비올라를 비롯 첼로/바이얼린/더블베이스/클라리넷/
플루트등으로 연주되고 있으며 스페인의 첼리스트인 Gaspar Cassado에 의해
오케스트레이션이 감미된 협주곡으로 편곡 되기도 했습니다.
비올라 버젼의 경우 현재 약5가지의 악보가 출판되었는데 악보마다 차이가
많더군요.
일부 악보의 경우는 음역을 변환 시킨것을 물론에 심지어 음표와 몇마디를
삭제까지 한 경우도 있습니다.
녹음의 경우 약12가지 녹음이 발매 되었는데 비올라 악기의 특성상 연주하기
어려운 이곡에서 두각을 나타낸 비올리스트를 발견할수 없었습니다.
전 실연으로 지난 96년 카네기홀에서 유리 바쉬메트와 97년 타비아 짐머만의
연주를 접해 봤는데 전자는 아주 실망스러운 연주를 했고 후자가 매우 뛰어난
연주를 들려 주었는데 짐머만의 경우는 아직 녹음을 하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