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 비올라소나타 에디션 > Bratsche! 칼럼

본문 바로가기

Bratsche! 칼럼

d47b6e49a5b044c93b9e76d762c749d3_1736022031_5118.jpg
 

브람스 비올라소나타 에디션

profile_image
Bratsche!
2008-01-20 09:18 6,244 0
  • - 첨부파일 : d2e43338_viola_and_orchestra.jpg (612byte) - 다운로드

본문

(사진은 비올라와 오케스트라와의 협연판으로 편곡된 브람스 소나타 제1번 f단조 레코딩)

최근 미국 비올라사이트의 게시판에는 브람스의 비올라 소나타의 에디션를 주제로 활발한
의견들이 있었습니다.
현재 브람스의 비올라 소나타는 브람스 본인의 편곡에 의한 비올라판과 다른 에디터들에
의한 클라리넷 에디션에서의 옮긴판등 총6개의 에디션이 출판 됐는데 이 작품을 연구해본
비올리스트라면 누구나 가졌을법한 이 작품에 대한 여러 의문점들이 여러 글로 게시판에
기재 돼었습니다.
저명 비올리스트와 음대교수님들의 주옥 같은 의견을 비롯, 전공생뿐 아니라 아마튜어
비올리스트들로 해박한 지식으로 수준 높은 의견을 피력 했는데 대부분 브람스의 편곡을
베이스로한 원전판인 Henle과 Wiener에디션이 대세더군요.
원전판이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 주는 클라리넷판 에디션들의 높은 음자리표로 표기된
고음역을 그대로 사용을 지적하며 이는 비올라의 톤컬러에 부적합하고 무리가 따르기에
원전판에 대한 지지가 많이 몰렸습니다.
하지만 이에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라리넷판의 높은음자리표 음역대를 그대로
사용한 Milton Katims(International 출판사)판에 대해 부정적인데 이탈리아의 저명 비올리스트인
Bruno Giuranna는 몇년전 Strad紙 기고에서 클라리넷판이야 말로 브람스의 본 작곡의도를
그대로 전달 했으며 그점에서 Katims판이 최고라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습니다.
브람스 비올라 소나타 에디션에 관한 논쟁은 아마 모든 비올리스트들의 영원한 과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무단복제 기재시 법적인 책임이 동반됩니다.
2005년 1월16일 발효된 저작권법에 의거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본 글과 사진을
도용할 경우, 적발 즉시 경고없이 법적인 책임을 묻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53 건 - 5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93
Bratsche!
2008-09-01
6,628
Bratsche!
2008-09-01
92
Bratsche!
2008-07-04
9,978
Bratsche!
2008-07-04
91
Bratsche!
2008-07-02
6,989
Bratsche!
2008-07-02
90
Bratsche!
2008-06-24
13,628
Bratsche!
2008-06-24
89
Bratsche!
2008-06-15
6,143
Bratsche!
2008-06-15
Bratsche!
2008-03-23
Bratsche!
2008-02-03
열람
Bratsche!
2008-01-20
6,245
Bratsche!
2008-01-20
Bratsche!
2008-01-16
Bratsche!
2007-10-23
Bratsche!
2007-10-09
82
Bratsche!
2007-08-22
5,799
Bratsche!
2007-08-22
Bratsche!
2007-08-07
80
Bratsche!
2007-07-31
6,616
Bratsche!
2007-07-31
79
Bratsche!
2007-04-26
5,485
Bratsche!
2007-04-26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