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비올라 무반주 조곡 > 질문답변 Q&A

본문 바로가기

질문답변

d47b6e49a5b044c93b9e76d762c749d3_1736024081_3222.jpg
 

[re] 비올라 무반주 조곡

profile_image
Bratsche!
2004-01-11 10:43 8,566 1
  • - 첨부파일 : 50c1f033_Lillian_Fuchs,_Bach.jpg (0byte) - 다운로드

본문

현재 출판된 J.S.바흐의 무반주 조곡 비올라 버젼 에디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작품의 비올라버젼 악보를 고르는데 있어서 매우 신중을 기해야할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제6번 조곡의 조성이 비올라버젼에는 두가지("D장조"와 "G장조")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연주 테크닉상 비올라로의 연주가 매우 부자연스럽기에 편곡자에 따라 조성을
옮긴 에디션이 존재합니다.

제6번 모음곡 (D major, Original Key)사용 에디션
      Boulay, Robert.  Alphonse Leduc, 1962.
프랑스 악보로 이 조곡의 필사본(두번째 부인,Ana Magdalena가 옮김)에 충실히 따른
에디션으로 임시표/슬러등의 표기가 가장 적은 그야말로 필사본에 가장 근접하게 접근한
에디션.
     Davis, Leonard.  International, 1986.
뉴욕필하머닉의 수석 비올리스트였으며 Manhattan음대에서 가르치고 있는 Davis의
에디션으로 어려운 페시지들에서 2nd 포지션을 많이 사용,의외로 편하고 손쉬운 포지션
이동의 해결책을 제시한 개인적으로 권하고픈 에디션.
      Katims, Milton.  International, 1970.
저명한 비올리스트이자 미국 USC음대의 비올라교사였던 카팀스의 에디션.카팀스는
자신의 에디션 악보와 더불어 자신의 에디션으로 연주한 CD도 발매했음.
다소 무리인듯한 긴 슬러와 작게 인쇄된 악보로 권장할만하지 못함.
      Lifschey, Samuel.  G. Schirmer, 1936.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디션으로 한글 악보도 있음.제시된 핑거링이나 슬러등등
학생들이 사용하기엔 가장 적합한 에디션.
      Rowland-Jones, Simon.  Edition Peters,  1997.
영국 왕립음악원 교수인 Rowland-Jones의 에디션으로 편곡자가 자신의 연주로 녹음한
CD도 발매 했다.이 에디션은 매우 독특하게도 Lute가 오리지널이라는 주장으로 인해
오늘날까지 논란이 지속중인 제5번 모음곡과 비올라연주로 두가지 조성이 사용되는
제6번 모음곡을 각 모음곡마다 각기 2가지 종류 에디션으로 제안/표기/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아카데믹한 면에서 본다면 가장 권할만한 에디션.
      Svecenski, Louis.  G. Schirmer, 1944.
Lifschey에디션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디션중 하나로 무난한 에디션.
제6번 모음곡중 하이포지션의 해결책이 가장 수월하게 제시 되어있음.

제6번 모음곡 전조(G major) 에디션
      Forbes,Watson.  Masters Music Publications, 1989.
영국 왕립음악원의 저명한 교사인 Forbes의 에디션으로 국내에도 많이 보급되었음.
슬러나 핑거링,모두 무난하여 학생들에게 적합함.
     Giuranna, Bruno.  Ricordi, 1990
이태리의 명비올리스트 Giuranna의 에디션으로 테크닉상 학생보다는 연주자들에게
더 적합할 에디션.이탈리아 Riccordi출판사의 악보로 가장 고가의 악보.
     Schmidtner, Franz.  Edition Sikorski, 1955.
독일 비올리스트 Schmidtner의 에디션.제5,6번에서 핑거링이 다소 난해하고 화음연주
표기가 다소 불편하게 제시되어 있음.
     Spindler, Fritz.  Friedrich Hofmeister Musikverag, 1953.
역시 독일 비올리스트이자 교사인 Spindler의 에디션으로 이 악보는 윗줄에 필사본
(Ana Magdalena에디션) 아랫줄에 비올라에디션 악보로 나란히 인쇄/표기 두 에디션을
비교해하며 공부할수 있는 즐거움을 제시하고 있음.이런 이유에서인지 미국의 경우
비올라교사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아서 저명한 비올리스트들인 Michael Tree(과르네리4중주단
비올리스트),Walter Trampler(타계한 저명한 비올리스트이자 교사),Karen Ritscher
(Rice음대 교수),Karen Tuttle(줄리어드/커티스음대 교수), Donnald McInnes
(USC음대 교수)등이 현재 즐겨사용하고 있음.

기타
이밖에 최고의 Viola virtuoso인 William Primrose의 에디션(G.Schirmer, 1978)가 있는데
Primrose의 경우 "제6번 모음곡은 비올라로의 연주가 부적합하다"며 자신의 에디션 악보와
음반에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이 악보를 사려고 sheetmusicplus.com가서 검색해봤더니 Guiranna, Louis Svecenski, Schmidtner 이 세 사람이 편곡한것 3개가 나오네요. 각각 페이지 수도 다르고... 가격도 달라서 어떤걸 사야 좋을지 몰라서 글 올립니다.

댓글목록1

지연님의 댓글

profile_image
지연
2004-01-12 03:00
  와^ ^ 답변 정말 도움많이 됬습니다.
Primrose에디션이 다른 에디션보다 소리가 더 좋다던데 이걸 사게되면 6번곡 연주를 못하고 ㅠㅠ....어떤걸 사야될지 갈등이 되네요~ 흠.
전체 737 건 - 4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운영자
2002-01-21
136
Bratsche
2000-12-20
4,126
Bratsche
2000-12-20
135
Bratsche
2000-12-20
3,938
Bratsche
2000-12-20
Bratsche
2001-01-04
133
Bratsche!
2006-08-02
10,629
Bratsche!
2006-08-02
132
Bratsche
2002-01-24
6,827
Bratsche
2002-01-24
131
운영자
2001-01-13
3,417
운영자
2001-01-13
130
운영자
2002-01-23
4,168
운영자
2002-01-23
운영자
2001-01-21
128
Bratsche
2002-01-28
4,852
Bratsche
2002-01-28
127
운영자
2001-01-30
4,015
운영자
2001-01-30
126
운영자
2001-01-30
3,764
운영자
2001-01-30
열람
Bratsche!
2004-01-11
8,567
Bratsche!
2004-01-11
124
Bratsche
2001-01-30
6,115
Bratsche
2001-01-30
운영자
2001-02-02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